-
습윤단열변화
(Wet Adiabatic Change)
공기 속에 함유된 수증기가 응결 또는 승화하거나, 공기 속에 함유된 물방울 또는 얼음이 증발하여, 항상 포화상태를 유지하면서 진행되는 단열변화
-
습윤대륙성기후
(Humid Continental Climate)
냉대기후(D) 중 추운 겨울이 길고 온난한 여름날씨를 가진 대륙성 기후
-
습윤온대기후
(Humid Temperate Climate)
건기가 거의 없는 대체로 다습한 온대 기후
-
습지
하천·연못·늪으로 둘러싸인 습한 땅으로 자연적인 환경에 의해 항상 수분이 유지되고 있는 또는 유지되는 자연자원의 보고이다. 습원은 지하수위(地下水位)가 높고 다습한 곳, 즉 물가나 저습지(低濕地)에 다습·저습·빈양(貧養) 또는 강한 산성 등으로 식물유체가 완전히 분해되지 않고 퇴적해서 생긴 토탄(土炭:泥炭) 위에 발달한 습생초원(濕生草原)이나 소택초원(沼澤草原)을 말한다. 특히 습지는 한랭하고 강수량이 많은 고위도지방이나 고원 등에 널리 분포한다.
-
습지 보전을 위한 람사협약
개발을 위한 매립 환경오염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습지의 잠식과 상실을 방지하고 특히 국경을 넘어 이동하는 물새류를 국제적인 자원으로 중시하여 이를 보호하고자 1972년 이란의 람사에서 채택한 협약임.
-
습지
(Marshy Land)
물의 흐름이 정체되어 오랫동안 고여 있는 상태로 하천이나 연못, 또는 늪으로 둘러싸여있는 습한 땅
-
습지대
(Heleocrene, Swale)
육지환경에서 수체에 둘러싸여 토양이 항상 일정수준 이상의 수분을 유지하고 있는 지역
-
습지식물
(Marshy Vegetation)
물가나 늪지 등에서 자라는 식물
-
승개교
(Lift Bridge)
물길을 가로질러 교량이 설치 될 때, 선박이 지나다닐 수 있도록 다리의 중앙부를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가동교의 하나
-
승수로
(Terrace Channels)
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등고선에 평행하게 수로를 설치하거나, 필지의 구획선을 따라 수로를 설치하여 하위부에 피해를 주지 않고 상위의 물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한 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