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도전도율
(Thermometric Conductivity)
열이나 전기에 의한 온도가 어느 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옮겨가는 현상의 크기를 규정하는 양
-
온량지수
(Warmth Index)
1년 중 한 달 평균기온이 5℃ 이상인 월에 대하여, 한 달 평균기온과 5℃의 차이를 합한 값
-
온배수 재이용시설
발전소 온배수를 물 재이용시설을 이용하여 처리하고, 그 처리된 물을 생활·공업·농업·하천유지 등의 용도로 이용하기 위한 시설
-
온배수
(Warm Water Effect)
따뜻이 데워진 채 배출되는 물
-
온실가스
(Greenhouse Gas)
태양과 지구에서 방출되는 복사에너지를 흡수 재방출하는, 천연 또는 인공의 기체성 대기 구성물질
-
온실기체
지구의 대기 속에 존재하며, 땅에서 복사되는 에너지를 일부 흡수함으로써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기체이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수증기, 이산화탄소, 메테인이 있다. 자연적인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데에는 수증기가 가장 큰 역할을 맡고 있지만,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온실기체로는 이산화탄소가 가장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일산화이질소(아산화질소), 염화플루오린화탄소(프레온: CFC) 등이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기체로 유명하다. 이러한 기체들은 1997년에 채택된 교토의정서에 의해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국제적인 협조에 들어가 있는 상태이다.
-
온실효과
대기를 가지고 있는 행성 표면에서 나오는 복사에너지가 대기를 빠져나가기 전에 흡수되어, 그 에너지가 대기에 남아 기온이 상승하는 현상이다. 대기가 온실의 유리처럼 기능하기 때문에 "온실효과"라 부르게 되었다. 하지만 온실의 정확한 원리는, 땅이 태양빛을 흡수해서 온도가 상승한 후 그렇게 해서 데워진 공기가 확산되는 것을 유리(또는 비닐)가 막음으로써 온실 내부 온도가 상승하는 데에 있다. 때문에 복사에너지 흡수가 원인인 대기의 온실효과와는 차이가 있다. 단, 열에너지 자체가 외부로 확산되지 않아서 온도가 상승한다는 점에서 결과는 마찬가지다.
-
온실효과
(Greenhouse Effect)
유리의 온실이 따뜻한 것과 같이 대기가 온실처럼 기능하면서 지표면의 온도를 상승·유지하는 효과
-
온위
(Potential Temperature)
어떤 고도의 건조 공기덩이를 1000 hPa의 기압고도로 단열적으로 이동시켰을 때 갖는 온도
-
온천
(Hot Spring)
지열로 인해 가열된 지하수가 지표에 자연 용출되거나, 인공적인 착정 시추를 실시하여 끌어올린 지하수의 수온이 그 지역의 연평균기온 또는 천부 지층의 지하수 수온보다 높은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