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기간
/ /
검색방법
전체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이끼벌레류
    (Bryozoa)
    촉수동물문 태충류에 속하는 동물로서 태선충이라고도 함
  • 이단소화
    (Two Stage Digestion)
    두 개의 탱크를 직렬로 연결하여 각각 소화와 탈리액 분리를 수행하는 방법
  • 이동발생원
    (Mobile Emission Source)
    이동하며 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 것
  • 이동시간차방식 초음파유속계
    (Ultrasonic Velocity Meter, Uvm)
    유체흐름속에서 흐름방향과 흐름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음파의 이동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유속을 측정하는 방식
  • 이득하천
    (Gaining Stream)
    지하수가 하상으로부터 유입되어 유량이 증가하는 하천
  • 이따이이따이 병
    일본의 후지야마(富山) 현 유역의 일부 지역에 1956 1957년을 최정점으로 발생하였던 만성 카드뮴 중독에 의한 공해병. 상류에 있던 미츠이(三井) 금속광업소의 공장 폐수에 들어있던 카드뮴이 진츠가와(神通川)의 제방이 무너질 때마다 전답을 오염시켰다. 이 카드뮴은 농작물과 식수를 통하여 주민의 체내에 축적되어 중독 환자를 낳았다.이따이이따이 병은 중년의 다산 경험이 있는 여성에게 많이 나타났으며 처음에는 요통 및 등줄기의 통증 사지 근육통 관절통을 호소하다 이 통증이 점점 심해져 이윽고 뼈에 금이 가고 결국 전신의 뼈가 부러진 경우까지 있었다. “아프다 아프다(이따이 이따이)”라고 괴로워 하는 모습에서 이런 병명이 붙여졌다.당시 이 지역 의사였던 한 의학박사가 근처의 오카야마대학 교수와 협력하여 그 원인 물질이 카드뮴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일본 후생성은 자체 내의 원인규명 조사반의 보고서와 의학박사 교수의 조사연구 결과를 근거로 1968년 5월 후생성의 견해를 발표하였다. 이에 따르면 카드뮴의 만성 중독에 의해 먼저 신장 장애가 일어나고 다음으로 골 연화증이 오며 여기에 임신이나 노화 칼슘 부족에 의해 이따이이따이 병이 발생하였다.환자와 그 유족들은 1968년 1월 미츠이 금속광업을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 1심과 2심에서 승소하였다. 공해재판에 있어 주민측의 1심 승소는 최초의 일로 기록되기도 하였다. 병상의 참혹함이 사진집 등을 통해 세계에 알려지면서 대표적인 공해병의 한 실례로 남게 되었다.
  • 이론적 산소요구량
    (Theoretical Oxygen Demand, Thod)
    물속에 존재하는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완전히 분해되었다고 가정하였을 경우에 산화에 필요한 산소량의 계산된 값
  • 이류
    (Advection)
    어떤 물질이 유체에 완전히 용해된 상태가 아닌 경우, 유체 안에 내재되어 있는 고형물이나 열에 의해 물질이 이동되는 현상
  • 이류
    (Muddy Water)
    물의 포화로 인하여 산사면이 흘러내리는 현상
  • 이류안개
    (Advection Fog)
    차가운 지면이나 수면 위로 따뜻하고 습윤한 공기가 이동하면, 연직적인 혼합으로 인하여 공기가 이슬점 이하로 냉각되어 안개가 형성되는데, 이때 형성되는 안개

부서명상하수과

전화번호031-8008-6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