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물권역 관리
(bioregional management)
생물지역의 경계를 정치적인 구분에 의해서가 아니라 인간공동체나 생태계의 지리적 한계에 의해서 구분 관리하는 통합적 접근방법을 말함. 예: 여러국가에 의해 공유되는 생태계관리
-
생물난분해성물질
(Non-Biodegradable Substanc)
물 환경에서는 분자량이 크거나 세균이나 생물이 분해가 불가능한 것, 또는 분해에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는 유기물
-
생물농축
유기오염물을 비롯한 중금속 등이 물이나 먹이를 통하여 생물체내로 유입된 후 분해되지 않고 잔류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유해물질들이 먹이사슬을 통해 전달되면서 농도가 점점 높아진다.
-
생물농축
(Biomagnificiation)
어떤 원소나 물질이 생물의 체내에 들어오면 분해되거나 배설되지 않고, 먹이 연쇄를 따라 이동하여 생물체내에 축적되는 현상ㅇㄴㄴㅇㄴㅇㄴㅇㄴㅇㄴ
-
생물농축
(生物濃縮)
생물이 먹이사슬 과정에서 특유한 물질을 몸안에 축적하는 현상. 먹고 먹히는 먹이사슬 과정을 통해 고농도의 농축이 일어난다. 생물농축에 의해 중금속 중독 등의 공해병이 발생하기도 한다.
-
생물농축계수
(Bioconcentration Factor, Bcf)
어떤 오염물질이 생물체에 축적되었을 때 환경 중에 존재하는 농도와 생물체에 존재하는 물질의 농도 비율
-
생물농축성시험
(Bioconcentration Test, Bioaccumulation Test)
생물농축성시험은 화학물질이 수생 생물에 미치는 농축성을 확인하는 실험으로 주로 어류나 갑각류 등을 이용
-
생물농축현상
(Bioaccumulation, Bioconcentration)
먹이 연쇄과정에서 먹이나 피부호흡을 통해 생물체의 몸속으로 들어간 후 몸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체내에 축적되어 상위 소비자로 갈수록 점점 더 많은 양이 농축되는 현상
-
생물다양성
장배수 가정잡배수 시뇨(屎尿)에는 질소 인 등의 오염물질이 들어 있다. 이런 물질은 하수처리장에서는 20~30% 밖에 제거되지 않으므로 하수 배수와 강을 통해 바다로 흘러들어간다. 물에 녹은 질소나 인은 바다의 플랑크톤에게는 영양이 되므로 이를 빠른 속도로 흡수하여 플랑크톤은 증식한다. 이 플랑크톤을 작은 물고기가 먹고 이 물고기를 큰 물고기가 먹고 이를 마지막에는 인간이 먹는다고 하자. 최초에는 공장이나 분뇨배수에 포함되어 있던 질소나 인이라는 오염물질은 이렇게 하여 물고기라는 단백질원이 된다. 이것은 물의 순환과 생물순환의 상호작용이 더러움을 정화해 자원으로 바뀌어가는 예이다.영양은 물에 녹아 육지로부터 바다로 흘러들어간다. 어업이나 낚시라는 행위는 바다로부터 육지에로 영양을 끌어 올리는 순환의 한 과정이 된다. 인간과 새와 물고기만이 바다나 강 호수로부터 영양을 육지에로 끌어 올릴 수 있다.석유나 석탄을 태우면 탄산가스라는 오염물질이 나온다. 식물은 대기 중의 탄산가스와 뿌리로부터 빨아들인 물 질소 인 등의 영양을 태양빛에 의한 광합성으로 만들어 생장하는데 이때 산소도 같이 배출한다. 이 산소는 인간을 포함한 생물에게 있어 한순간도 빠뜨릴 수 없는 중요한 것이다. 이처럼 생물순환에 의해 탄산가스는 정화되고 있다. ‘순환이 잘 이루어진다’는 것은 ‘더럽히지 않으며 자원을 낭비적으로 순환시키지 않는다’는 의미이기도 한 것이다.
-
생물다양성
(Biodiversity, Biological Diversity)
특정지역 내의 생물들이 보여주는 유전자, 생물종, 생태계의 세 단계 다양성을 종합한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