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물다양성
(biological diversity)
육상, 해상 및 기타 수중생태계와 이를 포함한 복합생태계 등 모든 분야의 생물체간의 변이성(variability)을 의미함. 이는 자연생태계에서 종(species)내와 종간의 생물적 및 유전적인 다양성을 포함함.
-
생물다양성협약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생물다양성협약은 지구상의 생물자원을 보존하기 위하여 각국의 생물자원 이용을 규제 관리하자는 내용의 국제협약으로 ‘92. 5월 나이로비에서 채택되어 ’94년말 현재 106개국이 가입하였으며, ‘94.10월 우리나라도 가입하였음. 각국은 자국의 영토내에서 열대우림과 동식물등이 풍부한 생물종다양성을 인류의 귀중한 자원으로 인식하고 과거 선진국들이 무제한 사용한 유전자원들에 대한 배타적 독점권을 거부하고 열대림 등의 보존으로 입은 경제적 불이익을 보상할 것을 원칙으로 내세웠음. 또 과학적 또는 교육적으로 생물 자원을 이용하는 것은 가능하나 상업적으로 이용하려고 할 때에는 이용국과 자원국이 긴밀히 상호 협력하여야 한다는 것임.
-
생물다양성협약상 클리어링 하우스 체계
(clearing house system)
협약 당사국간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과 관련된 과학기술의 협력을 증진키 위한 일종의 정보교환체계를 의미함.
-
생물독성시험
(Biological Toxicity Test)
생물체에 독성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의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한 실험
-
생물막
(Biofilm, Biological Slime)
수중의 유기물을 기질로 하여 자연발생적으로 물체에 붙는 생물군집체
-
생물막여과법
(Biological Filtration Process)
여재에 미생물을 성장시키고 하수를 흘려보내 미생물에 의해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하수처리법
-
생물분해
(Biogegradation)
생물에 의해 각종 화합물이 분해되는 것을 의미
-
생물분해가능 유기탄소
(Biodegradable Organic Carbon)
탄소를 가진 화합물 중 생물에 의해 분해가 가능한 것
-
생물산화
(Biological Oxidation, Bio-Oxidation)
하수 처리 시 유기물이 미생물을 매개로 하여 산화
-
생물산화처리법
(Biological Oxidation Process)
생물산화처리법은 생화학적으로 분해 가능한 용존유기물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활성오니법, 생물막법, 회전원판법 등의 호기성처리법과 혐기성처리법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