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기간
/ /
검색방법
전체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수증기
    (Water Vapor)
    기체 상태의 물
  • 수증기압
    (Water Vapor Pressure)
    대기 중의 수증기의 양에 의해 생기는 압력
  • 수증기증류법
    (Steam Distillation)
    수증기를 사용하여 끓는점이 높고 물에 잘 녹지않는 혐수성 유기물질을 분리 정제하는 방법
  • 수직시추
    (Vertical Boring)
    I자 형태의 시추관을 사용하는 시추방법
  • 수직탐사
    (Vertical Sounding)
    지하 매질의 물리적 성질의 깊이별 변화를 조사하는 탐사 방법
  • 수질
    (Water Quality)
    순수한 물은 H2O로 구성되어 있는데, H2O 외에 물속에 불순물이나 다른 오염물질이 포함되어져 나타나는 성질
  • 수질감시계
    (Water Pollution Monitor)
    각종의 수질오염물질 항목들을 자동적으로 측정해 기록, 전송하는 장치
  • 수질감시항목
    (Water Quality Observation Item)
    먹는 물에서의 검출수준이 낮아 현재는 먹는 물 수질기준으로 설정되지는 않았지만, 먹는 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검출상태 등을 감시하는 항목
  • 수질개선부담금
    먹는물의 수질개선을 위해 판매가액에 부과하는 금액. 공공의 지하수 자원을 보호하고 먹는물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 먹는샘물 제조업자와 수입판매업자로부터 먹는샘물 판매가액의 20%를 부담하게 하는 제도이다. 이 제도는 1995년 5월에 우리나라에 도입되었다. 부담금은 10%에 상당하는 금액을 시 ·도의 징수 비용으로 사용하고, 잔여금액의 50%에 상당하는 금액은 당해 먹는 샘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개발된 취수정에 위치한 시 ·군 또는 자치구의 세입이 되며 나머지 50%는 환경부에서 관리 집행한다.
  • 수질검사
    (Water Analysis)
    물의 물리적 성질 또는 화학적인 성분이나 세균 등의 함유 상태를 조사하여 물의 깨끗함 또는 깨끗하지 않음을 판정하는 것

부서명상하수과

전화번호031-8008-6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