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질오염
자연수역(自然水域)의 수질이 폐물질(廢物質)의 유입 때문에 오염되는 일. 자연수역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하천·호수·해역 등과 같이 눈에 띄는 표면수를 가리키며, 폐물질이라 함은 가정폐수·공장폐수 등 문명사회로부터 배출되는 액상폐기물을 가리킨다. 그리고 바람직하지 않게 변한다고 함은 용수(用水)로서의 가치와 외관이 저하되고, 환경보전 및 국민보건에 역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뜻이다.
-
수질오염
(Water Pollution)
하천, 호소, 지하수, 바다 등의 물이 오염물질로 인해 인간과 생물이 이용하기 어려울 정도로 오염된 것
-
수질오염물질
(Water Pollutants)
하천·호소·지하수·바다에 흘러가 물을 더럽게 하는 물질
-
수질오염방지법
(Water Pollution Prevention Act)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국민의 건강을 보호함과 동시에 생활환경을 보전할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
수질오염방지시설
(Water Pollution Control Facility)
점오염원, 비점오염원 및 기타 수질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감소하게 하는 시설
-
수질오염사고
산업규모의 확대로 유류 유독물 등의 생산과 사용이 늘어나면서 취급 부주의와 수송차량 전복 등으로 오염 물질이 유입되고 산업체 등에서 폐유·폐유기용제가 다량 함유된 폐수를 무단 방류하거나 하수처리장 등 환경관련 시설의 고장·파손 또는 운용요윈의 부주의로 다량의 오·폐수가 하천으로 유출되면서 수질오염 사고가 일어나고 있다. 이 밖에 자연현상에 의해 하천의 수온이 올라가거나 초기강우로 인한 물환경의 변화로 물고기 폐사사고 등이 있는데 거의 대부분은 인위적 사고라고 할 수 있다.
-
수질오염원
(Water Pollution Source)
수질의 오염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하나는 가정의 하수, 공장의 폐수와 같이 배출원이 확실하고, 그 양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점오염원이며, 다른 하나는 강우유출수와 같이 분산되어 배출되며 그 양과 배출지점을 특정할 수 없는 비점오염원으로 구분 됨
-
수질오염지표
(Water Pollution Index)
수질오염의 상태와 오염의 단계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해놓은 오염물질의 항목
-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지방자치단체별로 목표 수질을 정한 뒤, 이를 달성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오염물질의 배출 총량을 관리하는 제도.
-
수질환경
지구에 존재하는 물의 물질순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환경을 말한다. 지구상에서의 다양한 활동으로 생긴 열을 물이 흡수하여 수증기가 상승하고 그 열을 우주공간으로 방출한 후 비가되어 떨어지는 순환에 의해서 지구의 온도는 15℃로 유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