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질검사시설
(Water Examination Facility)
수도사업자가 급수전의 안전성 확인, 검사 요청에 따른 수질검사 수행, 수원수질의 파악, 정수장에서의 정수처리공정 감시를 하기 위해 수질검사ㆍ시험을 행하는 시설
-
수질기준
(Water Quality Standard)
물의 물리적, 화학적, 세균학적인 기준으로 물의 사용 목적에 따른 오염정도를 등급으로 나타낸 것을 의미
-
수질기준항목
(Water Quality Standards Item)
환경위생보건 및 수체의 수질관리를 위해 수질환경보전법에서 정하고 있는 수질항목
-
수질모니터링
(Water Quality Monitoring)
자동 및 수동 수질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수질을 검사하여 수질 변화 추이를 관찰
-
수질모델
(Water Quality Model)
수체 내에서 오염물질의 변화현상 및 상호관계를 규명하고 시공간적 수질변화를 추정하는 도구
-
수질모델의 검증
(Water Quality Model Verification)
모델의 보정결과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과정
-
수질모델의 보정
(Water Quality Model Calibration)
모델에 의한 예측치가 실측치를 제대로 반영할 수 있도록 각종 매개변수의 값을 조정하는 과정
-
수질부가요금
(Sewage Charge Based On Water Quality)
수질 상태에 기초한 요금 산정방식
-
수질분석
(Water Quality Analysis)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가지 불순물의 양을 측정하는 것
-
수질사고
(Water Quality Accident)
인간의 활동에 의해 인간의 건강이나 환경 및 생태계에 피해를 줄 정도로 바다, 하천, 호소 등이 오염되는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