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기간
/ /
검색방법
전체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염기치환
    (Base Exchange)
    콜로이드 표면의 이중층 외곽에서의 양이온의 치환
  • 염도
    (Salt Density)
    물에 용해되는 염분의 양을 말하며, %나 ppm 단위를 사용함
  • 염분 농도
    (Salinity)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소금기를 유발하는 물질의 농도
  • 염분계
    (Salinometer)
    바닷물의 염분을 측정하는 장치
  • 염분비 일정의 법칙
    (Law Of The Regular Salinity Ratio)
    바닷물속에 녹아 있는 염분 중 염류들의 비율이 어느곳에서나 일정하다는 법칙
  • 염산
    (HCI)
    무색 투명하고 부식성이 강한 염화수소수용액. 염화 수소(HCl) 수용액으로 무색 투명하고 부식성이 강하다. "염화수소산"이라고도 한다. 대표적인 강산 중 하나로 물로 많이 희석한 "묽은 염산"을 이용한다. 염산은 위에서 분비되는 위산의 주요성분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인간이 먹은 음식물은 식도, 위, 소장, 대장 등 길고 많은 소화기관을 거친다. 이처럼 음식물을 모두 소화시키고 흡수하는 데 꽤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몸 속에서 음식물이 상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과를 막기 위해서 위산이 나온다. 위산은 pH 2 정도의 강한 산성을 띤 환경을 만들어, 음식물이 들어왔을 때 세균을 죽이고, 음식물이 부패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 염산
    (Hydrochloric Acid)
    무색 투명하고 부식성이 강한 염화수소수용액.
  • 염색체
    염색체는 세포분열 시 핵 속에 나타나는 굵은 실타래나 막대모양의 구조물로 유전물질을 담고 있다. 세포분열의 전기 때 핵 속의 염색사가 응축되어 염색체를 형성한다.
  • 염소 처리
    염소 또는 염소화합물이 가진 산화작용이나 살균작용에 의하여 행해지는 정수처리이며 상수, 하수, 공업용수, 공업폐수 등의 처리에 쓰여지고 있다. 정수처리에서 초기 공정으로 살균, 철이나 망가니즈의 제거, 암모니아 제거 등을 목적으로 행해지는 염소의 첨가 작업을 전염소처리라고 하며, 급수 직전에 수도꼭지의 잔류 염소를 보존 유지할 목적으로 첨가되는 것을 후염소처리라고 한다. 하수 처리장에서는 방류 전에 행해진다.
  • 염소
    (CI)
    전기음성도가 플루오린, 산소 다음으로 크고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녹황색 기체이다. 염소분자(Cl2)는 강력한 산화제이며 표백제로 쓰인다. 바닷물이나 생물체 내에서는 이온상태(Cl-)로 존재하며 소금의 주요 성분으로,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며, 특히 생명에게 필수적 요소이다. 반응성이 커서 비활성기체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원소와 반응하며 금속원소와 이온결합하여 이온성화합물을 만들고 비금속원소와 결합하여 유기화합물을 만든다.

부서명상하수과

전화번호031-8008-6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