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역면적
(Drainage Area)
지형적인 분수계로 둘러싸이는 지역의 평면 면적
-
유역모델
(Watershed Model)
유역의 지표수, 중간류 및 지하수 유동을 통한 물과 오염물질의 이동 및 물질수지를 분석할 수 있도록 개발된 프로그램
-
유역의 방향성
(Basin Direction)
유역의 유출방향
-
유역하수도
(River Basin Sewerage)
하수도법에서 정하는 하수도의 일종으로 둘 이상의 읍면의 하수를 일개소에 모아서 하수처리를 하는 것으로서 읍면간을 연결하는 간선관거 원칙과 종말처리장
-
유입부하량
(Inflow Load Factor)
수계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양을 의미
-
유입부하량
(Inflow Load Factor)
유입된 오염물질이 그 수역의 오염에 기여하는 양. 수체에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오염물질의 농도(mg/L) × 유입량(m3/L)로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소나 인의 오염물질들이 연안이나, 호소 등 폐회성 수역에 유입이 되어 축적되기 때문에 부영양화가 진행된다. 총량규제와 같은 수질을 보전하기 위한 대책은 유입 부하량의 파악이 기본이며, 하수처리장의 설계에서도 유입부하량을 파악하여야 설계가 가능하다. 오염물질의 유입부하량이 높다는 것은 하천이 오염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유입수
(Influent)
어떠한 곳으로 흘러들어가는 물
-
유입점처리
(Point-Of-Entry Water Treatment)
수처리를 물을 공급받는 지역에서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
유전
(Oil Field)
석유가 집중되어 존재하는 지역
-
유전자돌연변이
(Gene Mutation)
생물의 돌연변이 중 유전자를 이루는 DAN구조에 변화가 생겨 유전자의 모습이나 성질 등이 변화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