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기간
/ /
검색방법
전체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유출인자
    (Runoff Factor)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기상학적 인자와 지형학적 인자로 구분
  • 유출현상
    (Runoff Phenomena)
    유역에서 유역경계 밖으로 물이 빠져나가는 현상
  • 유층
    (Oil Stratum)
    석유가 매장 되어있는 지하의 저류층 중에서 석유가 연속적으로 매장 되어있는 지층
  • 유해 화학물질 오염
    인간의 건강이나 동식물의 성장에 악영향을 끼치는 화학물질에 의한 오염 유해한 화학물질 중에는 독성이 대단히 강한 것이 있는가 하면 독성은 그다지 강하지 않지만 오랜 기간 섭취함에 따라 건강에 영향을 주는 것도 있다. 분해되기 어렵고 생물의 체내에 축적되기 쉬운 화학 물질이 환경 속에 다량으로 방출될 경우 농작물이나 어패류에 가장 먼저 스며들게 된다. 인간이 이를 장기간에 걸쳐 먹게 되면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 유해가스
    (Harmful Gas, Toxic Gas)
    인체에 유해한 가스를 총칭하는 용어
  • 유해대기오염물질
    (Hazardous Air Pollutants)
    대기 중에 유출되면 인체에 해를 끼칠 수 있는 물질
  • 유해폐기물의 국가간이동 및 그 처리·통제에 관한 바젤협약
    (Basel Convention on the Control of Transboundary Movements of Hazardous Wastes and Their Disposal)
    유해폐기물의 교역통제에 관한 국제협약으로 1989년 스위스 바젤에서 채택되어 ‘96. 6월현재 100개국이 가입하였음. 병원성 폐기물을 포함한 유해폐기물(수온 함유폐기물등 47종)의 국가간 이동시 교역국은 물론 경유국에까지 사전통보 등의 조치를 취함으로써 유해폐기물 불법이동을 줄이자는데 그 기본취지가 있음. 대부분의 환경관련 국제협약이 미국, EC등 선진국 주도로 이루어진데 반하여 아프리카 등 77그룹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 후진국들이 선진국의 폐기물처리장화 해서는 안되겠다는 위기의식에서 출발되었으며, 우리나라도 ’94.2.28일 가입하였고 이에 대비 1992년에는 “폐기물의국가간이동및그처리에관한법률”을 제정한 바 있음.
  • 유화
    (Emulsification)
    섞이지 않는 2개 액체 중 하나가 다른 액체속으로 분산되어가는 현상
  • 유황곡선
    (Discharge-Duration Curve)
    x축에 일수 또는 날짜, y축에 유량을 나타내어 하천의 일평균유량을 1년에 걸쳐서 크기순으로 나열해서 얻은 곡선
  • 유효공극률
    (Effective Porosity)
    토양이나 암석에 존재하는 공극 중 지하수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는 공극의 부피를 암석 또는 토양 전체 부피로 나눈 비율

부서명상하수과

전화번호031-8008-6990